본문 바로가기

실생활 꿀팁

경조사 휴가 일수 알아보기

728x90
반응형

이번 포스팅은 경조사 휴가 일수의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경조사란? 축해해야 할 기쁜 일과 애도해야 하는 불행한 일을 말합니다. 결혼, 출산, 생일, 사망과 같은 일을 말합니다. 

 

회사는 경조사의 대한 휴가나 축의또는 조의금을 지급해야 한 의무가 있는지?

  • 근로기준법상 회사는 경조사에 대한 휴가나 축의금 또는 조의금 등의 경조사금을 지급할 의무는 없습니다
  • 휴가의 종류도 크게 법정휴가,약정휴가로 나눌 수 있는데, 경조사 휴가는 그중 약정휴가에 해당됩니다.
  • 근로계약서, 취업규칙 또는 단체협약등에 경조사 휴가를 부여한다고 규정하였다면 이에 따라 의무가 발생하게 됩니다

회사에서 경조사 휴가에 토요일 일요일 등 휴일을 포함하는데 문제없을까?

  • 일반적인 회사에서 본인 결혼의 경우 5일의 경조 휴가를 부여합니다. 이에 대해 행정해석은 당사자가 단체협약 등으로 정한 약정휴가와 약정휴일등에 관하여 근로기준법사에 규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주휴일 또는 약정휴일이 약정휴가 일과 결치는 경우, 휴가일은 약정휴가일수에 포함할지, 제외할지 여보등은 단체협약이나 취업규칙등에 정한 바에 따르면 될 것이라고 회시한 바 있습니다.

일반회사 경조사 휴가 부여기준

  • 경조사 휴가의 경우 회사의 사정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구분 대상 휴가일수
결혼 본인 5일
자녀 1일
형제자매 1일
사망 배우자 5일
본인(또는배우자)의부모 5일
본인의 조부모 3일
자녀 3일
형제자매 3일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