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원금및 요금정리

청년 도약계좌

728x90
반응형

이번 내용은 청년 도약계좌의 대한 정보입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청년층 ( 만 19세~34세) 에게 자산 형성을 위해 만들어진 정책형 금융상품입니다.  매달 70만원 한도로 5년간 자유롭게 납입하면 정부 지원금(최대 월 2만 4000원)과 비과세 혜택(15.4%)을 받을 수 있는 ‘청년도약계좌’ 상품이  6월에 출시됩니다.

 

목 차

1. 청년도약계좌 조건
2. 청년도약계좌 개인소득별 기여금 지급구조
3. 금리구조
4. 중도해지
5. 상품개요

청년도약계좌 조건

  • 만 19~34세, 개인소득이 총 급여 기준으로 7500만 원 이하, 가구 소득은 중위 180% 이하
  • 2022년도 중위소득 (2인 기준 월 326만 원) 기준으로 2인가구 월 소득 586만 8000만 원 이하
  • 국세청에 신고된 동식 소득이 있어야 가입 가능
  • 아르바이트하는 분도 신고 소득이 있다면 가입 가능

개인소득이 4,800만 원(총 급여 기준) 이하인 경우 납입한도(월 70만 원)에 미치지 못하는 금액 납입(월 40~60만 원)하더라도,정부기여금 모두 수령할 수 있도록 기여금 지급한도를 별도로 설정하였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개인소득별 기여금 지급구조

개인소득 본인 납인한도 (월) 기여금지급한도 (월) 기여금 매칭비율 기여듬 한도 (월)
2,400만원 70 만원 40만원 6.0% 2.4만원
3,600만원 50만원 4.6% 2.4만원
4,800만원 60만원 3.7% 2.2만원
6,000만원 70만원 3.0% 2.1만원
7,500만원 - - -

금리구조

  • 위 상품은 가입 후 3년 고정 금리, 이후 2년은 변동금리 가 적용될 예정 
  • 최종만기 수령은 본인 납입금과 정부 기여금 경과이자가 합산된 금액으로 지급되며 이자소득에는 비과세혜택 적용

*3년을 초과하여 고정금리 적용되는 구조의 상품도 출시할 수 있도록 취급기관과 협의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중도해지

특별벽중도해지 사유에 해당된다면 본인납입금 외 정부기여금이 지급되며 비과세 혜택도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1. 가입자의 사망 해외이주
  2. 가입자의 퇴직
  3. 사업장의 폐업
  4. 천재지변
  5. 장기치료가 필요한 질병
  6. 생애최초 주택가입

상품개요

  • 가입요건 : 총 급여 5,000만 원(종합소득금액 3,800만 원) 이하인 청년
  • 3년 이상 가입을 유지하는 경우 펀드 납입액(연 최대 600만 원)의 40%를 소득공제(최대 5년)
     

청년도약계좌 상품의 대한 자세한 정보는 <서민금융진흥원콜센터  1397 >로 문의하시면 됩니다.

 

해당내용의 출처는 금융위원회 입니다.

 

 

 

 
728x90
반응형